2024년에 파리올림픽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어느새 한 해가 지나고 동계아시안게임 소식을 들었어요.
저는 특별히 동계올림픽을 좋아하는 1인이기에, 이번 동계아시안게임도 무척이나 기대가 되었는데요.
지난 토요일에 개막한 동계아시안게임이 어느덧 일주일이 지나고, 내일이면 폐막을 앞두고 있어요.
이렇게 보내기 아쉬운 동계아시안게임을 다시 한번 돌아보아요.
2025년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 기간 : 2025년 2월 7일(금) ~ 2월 14일(금)
- 장소 : 중국 하얼빈
- 규모 : 34개 올림픽위원회, 11 종목, 64경기
1. 엠블럼
2025년 제9회 동계아시안게임 엠블럼인 Breakthrough(돌파, 돌파구)
새로운 시대를 맞아 중국 스포츠 강국 건설을 가속화하고, 더 높고 더 빠르게, 더 강한 목표를 끊임없이 도전하며 아시아 빙설 스포츠 발전에 새로운 기여를 하려는 아름다운 의지를 표현 한 거래요.
좀 더 그 의미를 알고 싶어서 홈페이지를 찾아보니,
이 디자인에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터의 달리는 자세와 하얼빈시의 라일락 꽃과 올림픽 협회의 로고 등의 요소가 통합되어 중국문화와 올림픽 요소가 결합된 형태라고 해요.
이렇게 설명을 그림으로 직접 보니, 사람이 달리고 있는 모습이 상상되면서, 바로 이해가 되었어요.
여기에 추가적으로, 이번 대회가 9회라서 한자 9의 九 이 모습도 변형되어 있다고 해요.
엠블럼이 중요한 로고이다 보니 중국에서는 담고자 하는 의미를 최대한 함축적으로 담아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2. 마스코트
특별히 저는 캐릭터들을 좋아해서, 이번 동계아시안게임에서는 어떤 귀여운 친구들이 마스코트일지 궁금했어요.
이번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의 마스코트는 귀여운 호랑이 친구들이더라고요.
시베리아호랑이인 "빈빈"과 "니니"라고 한데요.
이번에 알게 되었는데요. 하얼빈에는 동북호림원이라고 세계최대의 호랑이공원이 있다고 합니다. 멸종위기에 처한 시베리아 호랑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조성된 공원이라고 하는데요.
빈빈과 니니는
2023년 9월 이곳에서 태어난 두 마리의 귀여운 시베리아 호랑이가 모델이라고 해요.
수컷 호랑이인 빈빈은 겨울 스포츠복을 입고 아이스 댄싱의 즐거움을 공유하고
암컷 호랑이인 니니는 중국 전통 의상을 입고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모습을 표현했데요.
호랑이의 귀여운 모습과 중국과 겨울 스포츠의 특징이 잘 결합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연합뉴스 기사를 보다 보니, 러시아전통인형인 마트료시카의 모습을 한 빈빈과 니니의 모습은 정말 귀여웠어요.
이건 소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포스팅해 보아요.
3. 참가국
동계 아시안게임 역대 최다로 34개국 1275명의 선수가 참여하게 되었다고 해요,
선수참가 인원은 중국, 일본, 한국이 확실히 많더라고요.
참가 종목과 선수의 숫자는 작더라도, 모든 국가들이 멋진 경기 해 주셨다고 생각해요.
4. 종목
동계아시안게임은 11개의 종목이 있었어요.
종목별 픽토그램이 너무 귀여워서 가져왔어요.
스피드스케이팅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컬링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스키
프리스타일스키
스노보드
바이애슬론
산악스키
전 종목 대한민국 선수들이 출전하고 다들 최선을 다한 모습을 보였다고 생각해요.
아직까지 경기 중인 종목들이 있다 보니, 최종 메달 관련 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기록해 볼게요.
경기 폐막인 내일까지 아이스하키 결승과 컬링 결승이 남아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남자 아이스하키 동메달 결정전이 있고, 여자 하키도 남은 것 같고, 컬링은 오늘 밤 결과에 따라서 내일 경기 정해 질 것 같네요.
아무쪼록! 대한민국 선수들 마지막까지 모두가 고생하신 것만큼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어요.
저는 덕분에 일주일 내내 대한민국 응원하는 즐거운 시간 보냈습니다!
'케이의인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패스 경남패스 경남형 대중교통비 지원 정보 (2) | 2025.02.21 |
---|---|
2025년 원동매화축제 행사 정보 (2) | 2025.02.19 |
경남 양산 2025년 원동 미나리 축제 함께 즐겨요! (0) | 2025.02.18 |
2025년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메달 스토리 (1) | 2025.02.16 |
경남 양산 설날 연휴 응급, 당직 의료기관 및 약국 안내 (0) | 2024.02.06 |